
무지개경영(주) 대표컨설턴트 박종훈입니다.

『경영컨설턴트의 공공기관 자문 역량: 조달청 제도 개선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워크와 KPI 설계』
경영컨설팅은 기업의 전략적 성장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공공기관의 제도 혁신과 국가적 가치 창출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각적 전문 영역이다.
경영컨설턴트의 활동 범위는 민간 기업의 경쟁력 강화뿐만 아니라 공공 부문에서의 정책 자문과 제도 개선을 포함하며,
국가 경제와 사회적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최근 조달청 외부 전문위원으로 참여하여 공공조달 사업의 혁신과 제도 개선을 위한
자문을 수행한 사례를 통해, 경영컨설턴트로서 공공기관 자문의 중요성과 실질적 임팩트를 조명하고자 한다.
1. 자문 배경 및 문제 정의 (Problem Statement)
조달청은 공공조달을 통해 국가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핵심 기관으로, 기존 프로세스에서 운영 비효율성,
혁신 기술의 제한적 통합, 그리고 Stakeholder Engagement 부족으로 인해 Value Chain 전반의 최적화가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근번 자문은 공공조달의 전략적 혁신(Strategic Innovation)을 통해 지속 가능한
제도적 변화를 유도하고, 공공사업의 신뢰도와 성과를 제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경영컨설턴트가 공공기관 자문에서 발휘할 수 있는 전문성의 대표적 사례로, 민간과 공공 부문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2. 자문 수행 과정 및 심층 분석
자문은 데이터 기반의 체계적 접근법과 글로벌 벤치마킹을 결합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진행되었고,
주요 단계와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현황 진단 (Operational Diagnostic): 조달청의 공공조달 프로세스를 As-Is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프로세스 병목현상(Bottleneck)과 비효율성의 근본 원인(Root Cause)을 파악하기 위해
Value Stream Mapping(VSM)을 활용하였으며, 조달 주기(Cycle Time) 지연과 비용 초과(Cost Overrun)가 주요 이슈로 도출되었다.
외부 환경 분석 (PESTEL & Benchmarking Analysis): PESTEL 분석을 통해 정치적(Political), 경제적(Economic),
기술적(Technological) 요인을 고려한 공공조달 환경의 거시적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OECD 국가들의 공공조달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e-Procurement 시스템의 고도화와 Blockchain 기반
투명성 강화 사례를 참고, 조달청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전략에 반영하였다.
정량적 성과 분석 (Quantitative Performance Gap Analysis): 기존 조달 프로세스의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분석한 결과, 평균 조달 소요 시간(Lead Time)이 글로벌 표준 대비 18% 지연되고,
혁신 기술 도입률이 1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과 격차(Performance Gap)를 기반으로
개선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전략적 제안 (Strategic Interventions):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세 가지 핵심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디지털 조달 플랫폼의 전면 도입으로 실시간 데이터 통합(Real-Time Data Integration)과 프로세스 자동화를
실현하는 방안,
둘째, 혁신 기술 기업과의 협력을 위한 Risk-Sharing Partnership 모델 설계, 셋째, 이해관계자 간 협업을 강화하기 위한
Governance Framework 구축이다.
실행 로드맵 및 KPI 설계 (Implementation Roadmap & Metrics Design): 제안된 전략의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3-6-12개월 단위의 Phased Approach를 설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측정 가능한 KPI(예: 조달 주기 단축률 15%,
기술 도입률 30% 증가)를 설정하여 성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3. 공공기관 자문과 경영컨설턴트의 역할
금번 자문은 경영컨설턴트가 공공기관과 협력하여 국가적 차원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중요한 사례로
경영컨설팅의 전문성은 단순히 민간 기업의 이익 극대화에 국한되지 않고, 공공 부문에서의 정책 설계, 제도 개선,
그리고 운영 효율성 증대에 기여하며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
조달청 자문은 공공조달의 전체 Value Chain을 최적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경영컨설턴트의 다각적 역할과 역량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e-Procurement 시스템 도입과
정보데이터 기반 의사결정(Data-Driven Decision Making)은 조달청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제고하며,
장기적으로 공공사업의 국민 신뢰도(National Trust Index)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4. 맺음말 및 향후 과제
공공기관 자문은 경영컨설팅의 전문성을 통해 국가적 차원의 변화를 유도하는 중요한 활동 영역으로
금번 조달청 자문은 전략적 통찰과 실행 가능한 솔루션을 결합하여 실질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통해 제안된 방안의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경영컨설팅의 관점에서 공공 부문의 혁신은 단순한 효율성 증대를 넘어, 국가 경쟁력의 근간을 강화하는 중대한 과제임을
재차 강조하며, 민간과 공공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을 역설한다.

Consulting Agency
A HIGHER LEVEL OF MtkANAGEMENT CONSULTING
[POLICY LOBBYING/M&A/IPO/경영전략]
카카오톡 상담 채널 : https://open.kakao.com/o/sHUqxlxg

#경영컨설팅 #공공기관자문 #공공조달혁신 #조달청자문 #디지털전환 #전략컨설팅 #ValueChain최적화 #eProcurement #KPI설계 #혁신기술

